노동조합 조합원들이 고인을 추모하며 행진하고 있다.
17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않는 이유로는 '신고를 하면 오히려 아동학대 신고나 민원 발생이 우려돼서'(70.
0%)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고해도 지역교권보호위 처분 효과가 기대 안 돼서'(51.
4%), '하루에도 몇 번씩 (교권침해) 사안이 발생하는데 그때마다 신고할 수도 없어서'(50.
공무원으로서 갑질을 한 게 아니라 같은 공무원으로서 이해한다는 취지였다"고 해명했습니다.
화성교육지원청은 내달 1일 지역교권보호위원회를 열어 이 사건에 대한 조처 사항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화성시는 B씨가 공무원 신분으로 부적절한 행위가 있었는지에.
펜을 던지며 막아섰던 것으로 전해졌다.
B 씨는 이후 교내 화장실로 이동해 경찰에 신고했다.
교육 당국은 다음 달 1일 지역교권보호위원회를 열고 A 씨 등에 대한 조치 사항을 논의할 예정이다.
B 씨는 지난 8일 이후 현재까지 휴가 및 병가를 낸 상태다.
바라고 있다는 점이 부각됐다.
https://www.nahaengdong.co.kr/
세종교사노조는 최근 잇따른교권침해와 교사 사망 사건들이 단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교사를 배제.
또한 아동학대처벌법 등 미비한 제도로 인해 교사들이보호받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세종교사노조는 △교사 정치기본권.
제주교사노동조합은 제주도내 한 고등학교에서 발생한 학생의 여교사 추행 사건과 관련해교권보호위원회에서 '솜방망이 처분'을 내렸다며 강한 우려를 표했다.
제주교사노조는 "최근 피해 교사는 교육청으로부터 지역교권보호위원회 심의결과를 통보받았는데, 심의.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교사를 추행해도 '사회봉사 10시간' 처벌에 그치는 등 성 관련 폭행 사안에도교권이보호받지 못한다는 성토가 나왔다.
제주교사노조는 16일교권보호위원회의 이 같은 조치를 성토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입장문에 따르면 지역교권보호.
수가 없다”며 “안전한 공간이라고 생각했던 학교가 더 이상 안전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고 호소했다.
B씨는 지난 8일 이후 현재까지 휴가 및 병가를 낸 상태이다.
교육 당국은 다음 달 1일 지역교권보호위원회를 열고 A씨 등에 대한 조치 사항을 논의할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