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신약성서의 형성사 - 오랫동안 어려운 투쟁을 거쳐서 정경으로 채택

2. 신약성서의 형성사 - 오랫동안 어려운 투쟁을 거쳐서 정경으로 채택

※※※ 0 4,703 2005.02.23 10:02

2. 신약성서의 형성사


박창환 교수의 얘기를 계속 들어 보자.

구약성서와 마찬가지로 신약성서도 여러 저자에 의해서 오랜 기간에 걸쳐 기록된 책들이 오래고 또 복잡한 역사를 통해서 집성되어 이루어졌다. 신약성서 역시 고스란히 하늘에서 기록되어 사람에게 떨어진 것이 아니고, 또는 하나님께서 어떤 사람들에게 불러 주어 기록하게 하신 것도 아니다.

교회는 신약성서의 어느 부분도 가지지 않은 채 오랫동안 발전하여 나갔다.신약 정경이 곧 나타나지 않은 것은 여러 원인이 있는데 중요한 원인중의 하나는 사도 교회가 종말적 기대를 강하게 가졌다는 데 있다.그들은 그리스도가 곧 다시 오셔서 심판하시고 새 세계를 완성하실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교회는 긴 앞날을 계획할 필요가 없었다. 다만 그리스도를 영접할 준비가 요구될 뿐이었다. 문서로 된 정경이 있어야겠다는 욕구가 생기게 된 것은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그들이 기대가 수정되고, 급박한 하나님 나라 실현의 희망을 포기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바꾸어 말해서 그들이 예수님의 임박한 재림을 기다리는 동안은 영구보존을 목적으로 하는 문서운동 같은 것은 생각할 여기가 없었다는 말이다.

그리스도 복음이 구두로 전달되던 시대가 적어도 30년 이상 흘렀다. 제일 먼저 기록된 마가복음도 그 저술 연대를 기원후 60년 이전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 정설이고 보면, 구전시대가 한 세대 이상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 당시 크고 작은 많은 복음서들이 나돌아 다니고 교회에 혼잡을 조성하였었는데 어떻게 해서 4복음서만이 남아 승자의 관을 쓰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우리는 알 수 없다고 한다.

교회가 어째서 네 개의 복음을 그냥 가지고 있었을까? 그 수를 줄이거나 하나로 통일시키려는 의도는 없었는가? 서로 약간씩 다른 네 개의 복음서가 있다는 것은 확실히 곤란을 가져다주었던 것이 사실이다. 예컨대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 나타난 예수님의 족보가 각각 다르다. 요한복음서는 성전을 정화한 사건을 예수 생애의 초기에 두었고, 반면에 다른 세 복음서는 그 말기에 두었다. 첫 세 복음서는 예수가 유월절 후에 십자가에 달린 것으로 기술하였는데, 요한복음서에는 유월절 전에 십자가에 달린 것으로 기록했다. 예수님의 부활설화도 복음서마다 차이점을 지닌다. 이런 것들을 아는 교회가 네 개의 복음서를 하나로 만들어 조화시켜 보려는 의도를 가지지 않았을까? 기원후 180년경에 타시안(Tatian)이라는 사람이 소위 디아테사론(Diatessaron)이라는 책을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4복음서를 종합한 것이었다. 얼마 동안 이것이 매우 영향이 매우 컸고, 4복음을 대신할 수 있는 것같이 보였다. 그러나 결국은 실패하고, 얼마 후에는 그 책이 종적을 감추고 말았다.

공동서신이 한 그룹으로 모인 것은 상당히 후대의 일이었고 그 과정은 퍽 느렸다. 2세기말까지도 베드로 전서와 요한1서만이 보편적으로 수락되었을 정도이다. 계시록은 처음에 널리 알려졌고 인정되었다. 1세기 때에는 비단 요한 계시록만이 아니라 헤르마스의 목자와 베드로 계시록도 널리 사용되고, 상당히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2세기 후반경에 이르러서는 이 묵시서들이 인기를 많이 잃게 되었다. 그 이유는 세상의 마지막이 임박했다고 하는 약속이 성취되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다만 요한 계시록만이 교회의 광범한 인정을 받았다. 그러면서도 일부의 반대를 받아왔다. 그리하여 이 책이 정경으로 채택되어 상당히 견고한 위치를 얻기까지는 200년 이상이나 싸움을 겪어야 했던 것이다. 실상 그 싸움은 그 후까지 계속되었고, 현대 교회에서도 그 책을 정경에 완전히 넣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는 말이 떠돌고 있다.

교회사상 처음으로 나타난 신약성서 목록인 무라토리 정경목록(AD170)에는 현재의 신약 27서 중에서 베드로 전,후서 , 야고보서, 요한3서, 히브리서가 빠져 있다. 베드로 전서를 제외한 나머지 책들은 상당히 오랫동안 어려운 투쟁을 거쳐서 정경으로 채택된 것이다.

유세비우스(270~340)는 정경을 호모레고메나(Homolegomena)-누구에게나 받아들여진 책, 안티레고메나(Antilegomena)-일부의 반대가 있었던 책, 노타(Nota)-가짜책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야고보서, 유다서, 베드로 후서, 요한2·3서를 안티레고메나에 분류했고, 요한 계시록은 호모레고메나에 분류했지만 노타에 넣어야 된다고 자기의 의견을 덧붙였다.

논란의 대상의 되었던 책들이 가졌던 문제점은 사도 저작성의 문제, 즉 그 책들의 저작자가 확실치 않다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들을 정경에 넣기 위해서 히브리서는 바울의 저술로, 야고보서를 주의 동생에게, 유다서를 예수님의 또 다른 동생에게, 베드로 후서를 베드로에게, 요한2,3서를 요한에게 돌려 그 사도의 이름을 빌렸던 것이다.

예루살렘의 키릴(AD315~386)은 신약성서의 강의목록에서 계시록을 제외한 모든 책을 소개하였고, AD367년에 와서야 아타나시우스가 지금의 신약성서와 똑같은 목록을 제시하였다. 이 신약성서 27권을 393년에 힙포 레기우스에서, 397년에 아프리카의 카르타고에서 각각 정식 채택하였고 어거스틴도 이 정경을 지지하였다. 그것이 마침내 제롬의 라틴어 번역(Vulgata)을 통하여 전 서방 교회에 유포,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신약 27권 중에서 베드로후서, 요한2,3서, 유다서, 계시록을 제외한 정경이 5세기 초에 수리아 말로 번역, 발표되어 표준성서의 구실을 하였는데 그 성서를 페쉬타(Peshitta)라고 부른다. 동방 수리아교회는 지금까지도 계속 22권짜리 신약성서를 정경으로 가지고 있다.

Comments

Total 196 Posts, Now 1 Page

게시물이 없습니다.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389 명
  • 오늘 방문자 4,440 명
  • 어제 방문자 6,870 명
  • 최대 방문자 7,815 명
  • 전체 방문자 1,770,181 명
  • 전체 게시물 14,418 개
  • 전체 댓글수 38,023 개
  • 전체 회원수 1,676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