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2-11]쌀 맹신과 종교 맹신

[칼럼 2-11]쌀 맹신과 종교 맹신

김장한 0 5,376 2005.06.23 04:27

쌀 맹신


우리 민족의 주식은 쌀이다.


우리 역시 쌀농사 민족의 후예로, 온갖 민족의 음식을 자유로이 먹을 수 있는 포식시대인 지금 역시도 우리의 주식이 쌀이며, 우리 입맛에 우리의 쌀이 맛있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밥은, 조리 단계에서 버터나 생크림 최소한 베이킹 파우더를 넣어 그 자체로 어느 정도 맛이 나게 만드는 빵과는 달리 순수하게 쌀과 물만을 넣어 지어, 그 자체의 맛은 아주 포근하고 밋밋하다.


그래서 맛의 특성이 적은 쌀 맛은 김치나 된장같은 자극적인 발효음식만이 아니라 회나 나물, 무침 등 맛이 비교적 가벼운 반찬에도 잘 어울리며 전혀 이질적인 서양식의 토마토나 버터 소스에도 잘 어울린다.


우리나라에서 먹는 것은 단립종의 쌀로, 전 세계에서 단립종의 쌀을 먹는 것은 우리나라와 일본이 유일하고, 전 세계 인구 1/3이 먹는다는 쌀은 사실상 장립종의 쌀이다.


먹는 데는 돈을 아끼지 않는 홍콩이나 대만의 최고 요리집에도 항상 사용되는 쌀은 장립종의 쌀이고 그 역시 맛과 향이 넉넉해 많은 반찬과 어울리지만 그래도 우리 입맛에는 우리 쌀이 최고가 아닐까.


하지만 최근 불거지게 된 쌀 수입문제에서 바로 쌀 문제가 거론되면서 “음식 국수주의”의 면모가 쌀에서도 보여지게 된다.


갓 지은 쌀밥만 있으면 온갖 반찬이 필요 없다는 것이 바로 그것인데.


우리나라 사람들이 밥상에 앉아 갓 지은 쌀밥 냄새를 맡는 광경은 이제 드물게 보는 일이 아니다.


하지만 글쎄?


정말 쌀의 향기가 식욕을 돋우는 향긋한 냄새일까?


밥이 맛이 있고, 많은 반찬과 어울린다는 점은 수긍하는 바이지만 과연 갓 지은 밥의 냄새도 좋은 냄새일까?


물론 대답은 “아니요”이다.


쌀로 갓 지은 밥의 냄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황 화합물의 냄새이다.


식으면 상대적으로 무거운 이 황 화합물은 공기 중으로 날아가지 않아 냄새가 나지 않지만 뜨거울 때는 무지막지한 냄새를 피워 올리는 것이 바로 갓 지은 밥이다.


황 화합물의 독특한 냄새에 대해 우리는 초등학교 때 교과서에서 “달걀 썩는 냄새”라고 배운 바 있다.


밥 냄새는 그 농도가 낮고 다른 화합물의 냄새도 섞여 있으므로 그 정도까지는 아니긴 하지만 밥상과 상관없는 곳에서 경험한다면 충분히 불쾌한 냄새로 여겨질 수 있는 냄새이다.


냄새에 대한 취향이라고 하는 것은, 물론 민족적 차이가 심하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말린 건포물의 냄새와 치즈의 냄새이다.


건포물을 굽는 냄새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생선을 먹은 역사가 오래된 국가에서는 좋은 냄새이지만, 대개의 서구인들은 역겹게 느끼는 냄새이며 치즈 특히 표면의 처리를 습한 상태로 계속 유지하여 만들게 되는 블루치즈의 경우 대개의 아시아인들은 그 냄새를 제대로 맡지도 못한다.


하지만 어느 경우도 “썩은 계란냄새”로 표현되는 황 화합물의 냄새가 섞인 밥의 향기가 중립적인 입장에서 좋은 냄새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단 우리나라 사람과 일본 사람은 어릴 때부터 밥 향기가 나면 곧 밥을 먹게 된다는 사실을 조건 반사적으로 교육받았기 때문에 그 냄새를 긍정적으로 느끼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으로 “사고”하게 된다.


갓 지은 밥의 냄새는 악취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 민족에게 “배고픔을 달래주는 냄새”이다.


(*갓 지은 밥의 악취는 황 화합물의 활성에서 오는 냄새이므로 식으면 냄새가 사라집니다. 그러므로 진짜 밥의 향기를 맡을 수 있는 방법 하나를 소개합니다. 우선 밥을 지은 뒤 뜸이 든 직후 밥을 섞어서 밥알 사이에 있는 수증기를 밖으로 빼낸 뒤 여분의 습기를 흡수할 수 있는 나무 내지는 천연 재료로 된 통에 옮겨 담습니다. 그리고 뚜껑을 살짝만 열어두어 자연적으로 식힌 뒤 그 냄새를 맡아보십시오. 그 냄새가 진짜 밥의 향기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갓 지은 밥의 냄새는 악취라는데 반대하시는 분은 밥에서 올라오는 수증기와 국에서 올라오는 수증기를 같이 맡아보시기 바랍니다. 국에 있는 화학 물질의 성분이 압도적으로 많고 농도도 진하지만 밥의 수증기를 맡을 때 사레가 쉽게 들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교 맹신


이런 선입견-우리 민족이 쌀농사 민족으로 쌀을 주식으로 하는 것으로 쌀 냄새는 선호 판단 단계 이전에 주입된 것-은 종종 종교에 오면 첨예화된다.


종교적 교리는 논리적 윤리적 정당성과 맥락 이전에 주입된다.


그러므로 종교적 교리에 대한 종교인의 판단은 항상 “논리”와 “윤리”적 맥락을 뛰어넘을 수  밖에는 없는 것이다.


종교에 있어, 그 윤리성과 논리성을 배제하고 교리만이 최상위의 사고를 선점하고 있는 것이 바로 종교의 배타성으로 직결된다.


쌀 냄새가 인간에게 있어 항상 좋은 향기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이 세상에 해를 끼치지는 않는다.


하지만 자기네 종교의 교리가 논리와 윤리 위에 있다는 종교인들은 참혹한 일을 서슴지 않았다.


우리 주변에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믿음은 없어져 간다.


아주 사소한 것도 각종의 연구와 그 실적으로 인해 인간의 믿음에 해당하는 영역이 지식의 영역으로 넓혀져 온 것이 바로 근래의 과학이라는 학문이다.


예를 들어 이 세상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를 유추하는 것은 원래 우주의 제1원리를 찾는 “형이상학”이었다.


그러므로 이 세상의 기본이 4대원소라는 말도 나오고 이 세상의 기반은 수라고 하는 피타고라스 학파도 창설되었으며, 지금에 와서는 정설인 원자론도 원래는 형이상의 학문이었다.


하지만 지금, 이 세상의 기본 요소는 파동론과 입자론 두개로 압축되어 있으며 물리학계의 정설은 “파동적 입자” 내지는 “입자의 유동(파동에 의한)”으로 굳어져 가고 있는, 형이상이 아니라 실증적 학문 체계가 되어가고 있다.


또한 이 세상의 형상 역시 원래는 형이상에 기초한 학문이었으나 인공위성에서 지구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지금 이 세상의 그 누구도 우리가 사는 땅의 모양을 “철학적으로 고찰”하지는 않는다.


이 세상이 수라고 주장한 피타고라스 학파의 주장 및 삼각형의 성질에 대한 놀라운 발견은 지금도 도형에서 뺄 수 없는 중요한 발견이지만 수학이란 더 이상 형이상학이 아니다.


글쎄, 좀 성급하다고 말할지도 모르지만 영혼의 실체가 밝혀지고 신체적 이상과 신체 기능의 정지에 대한 완벽한 메커니즘을 재구현할 수 있는 미래는 아주 많은 형이상학적 주장이 과학적 난제에 불과하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각설하고, 종교가 위험한 것은 바로 “논리적이지도 윤리적이지도 않기” 때문이다.


근거 없는 믿음이 이 세상에 끼친 해악을 우리는 이미 경험한 바 있고, 그것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근거 없는 믿음이 위험한 이유는, 그의 믿음 체계 그 자체가 바로 그 믿음 자체를 위한 믿음이 되기 때문이다.


믿음이란 것은 항상 대상과 존재 이유를 그 근거로 하는데, 이 대상도 존재 이유도 “인간은 알 수 없다.”거나 “그러한 신성한 것을 언급해서는 안 된다”며 회피하는 그 심리의 기저에 존재하는 것은 그러한 언급으로 인해 자신의 세계관을 구축하고 있는 믿음 그 자체의 존재 여부가 무너질 위험 때문이다.


그러한 사실은 말로 하면 누구나 수긍할 만 하고, 또한 누구라도 아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오늘도 교회에서 할렐루야를 부르짖는 기독교인들이 이러한 사실을 자신의 믿음에 적용을 시키지 못하는 것은 “여호와가 바로의 마음을 강퍅하게 하”신 것일까나.


애석하기 그지없다.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 성서절대주의/유명론 댓글+6 김장한 2004.07.05 8192
52 [칼럼 4-4]고독-내면과 마주하는 용기 김장한 2006.03.05 6127
51 [칼럼 4-3] 기호를 넘어 인식으로, 전체를 넘어 부분으로! 김장한 2006.03.05 5657
50 [칼럼 4-2] 동기적 순수와 결과적 순수 김장한 2006.03.05 5448
49 [칼럼 3-6-2]기독교의 성공 배경 : 혐오의 세일즈 김장한 2005.09.06 6411
48 [칼럼 3-6-1]세균과 기독교 김장한 2005.09.06 5800
47 [민족주의에 관한 칼럼인 4부의 기획에 앞서]다 같이 생각해 봅시다. 김장한 2005.06.23 5359
46 [칼럼 3-5]죄는 곧 악인가? 김장한 2005.06.23 5535
45 [잡담]믿음이 강하다라는 요상한 말 김장한 2005.06.23 5813
열람중 [칼럼 2-11]쌀 맹신과 종교 맹신 김장한 2005.06.23 5377
43 [칼럼 2-9-2]착한 아이 콤플렉스 김장한 2005.06.23 5975
42 [김장한 먹사의 설교 5탄] 아름다운 말에 아름다운 뜻이 있는가? 김장한 2005.06.23 5650
41 [번외편]기독교여! 권위의 빤스를 벗어라! 김장한 2005.06.23 5578
40 [김장한 먹사의 설교 4탄] 바이블에 있는 좋은 말씀? 김장한 2005.06.23 6388
39 [번외편]거대 담론은 죽은 지식이다. 댓글+3 김장한 2005.06.23 7275
38 [칼럼 2-10]세균과 기독교-이 세상 멸망하는 날 김장한 2005.06.23 3396
37 [칼럼 2-9]부도덕의 미화 김장한 2005.04.21 3806
36 [번외편]기독 박멸 과연 가능한가. 김장한 2005.04.21 3698
35 [칼럼 2-8] 한국의 집단주의 광신-기독교 김장한 2005.01.13 4335
34 [칼럼 2-7]절망에 이르는 현대인의 질병-고독 김장한 2005.01.05 3372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140 명
  • 오늘 방문자 275 명
  • 어제 방문자 5,058 명
  • 최대 방문자 5,411 명
  • 전체 방문자 1,467,016 명
  • 전체 게시물 14,414 개
  • 전체 댓글수 38,036 개
  • 전체 회원수 1,663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