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집단 비판 보도에 한계 있는가 - 김종서 교수

저는 신입니다. 왠줄 아십니까?

제 일기장에 제가 신이라고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제 말은 진리입니다. 왠줄 아십니까? 제 일기장에 제 말은 진리라고 적어놨기 때문입니다. -엑스

종교집단 비판 보도에 한계 있는가 - 김종서 교수

※※※ 2 3,366 2004.08.26 11:39
제목 : 종교집단 비판 보도에 한계 있는가

관훈저널 2001년 여름호

종교집단 비판 보도에 한계 있는가
김종서 (서울대 교수. 종교학)


조직적 힘으로서의 종교집단

종교하면 경건함까지는 아니더라도 무언가 낭만적 분위기를 기대하기도 한다. 호젓한 산사에서 듣던 목탁소리와 시골 예배당에서 반주도 없이 찬송가를 따라 부르던 빛 바랜 사진첩 같은 추억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날마다 지지고 볶는 인생, 그저 잠시라도 개인적으로 마음 착 가라앉게 해주던 게 절과 교회 아니었던가?

그러나 요즈음 종교들의 모습은 아주 딴판이다. 마이크에다 쇳소리를 질러대며 시끌벅적 49제를 하는 서울 강남의 천태종 관문사나, 본당에 신도들을 다 수용할 수 없어 설교 광경을 곳곳에서 비디오로 보게 하는 순복음교회를 가보면 얼마나 다른지 단박에 알게 된다. 무엇보다도 그 엄청난 규모와 뜨거운 열기에 입이 딱 벌어진다.

1995년 인구 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의 반 이상(50.7%)이 종교인이다. 이중에 불교인은 1032만, 개신교 876만, 카톨릭 295만, 유교 21만으로 나왔다. 1985년 인구 총조사에서 종교인구가 42.6%였던 것을 감안하면 대단한 성장률인 셈이다. 특히 80년대부터는 개신교와 카톨릭을 합치면 불교인 수보다 좀 많다. 그러니까 10년 동안 불교는 30% 성장률을 보인 반면 개신교는 35%, 카톨릭은 58%의 급성장을 기록하였다.

초창기 박해에 하도 시달려 3·1운동에도 불참했던 카톨릭이다. 하느님이 내려다보고 계신데 안중근 의사를 카톨릭 신자가 아니라고까지 하며 몸을 사렸던 카톨릭이 아닌가? 워싱턴 포스트가 대선 직후 지금 대통령이 카톨릭에서 나온 것을 특집으로 다룬 것은 바로 그래서였다.

사실 말이 295만이지 불교나 개신교는 여러 종파로 나뉘어 있어 단일종파로는 카톨릭이 단연 최대다. 군대도 60만인 판에 최대종파라는 것은 사실상 국내 최대 사회조직인 셈이다. 오래 전 한 일본 시사잡지가 한국을 움직이는 실세로 대통령 다음으로 김수환 추기경을 꼽았던 것은 결코 놀랍지 않다.

가톨릭의 저력은 국내에만 국한된 게 아니다. 선교 200주년을 맞았던 80년대에 카톨릭은 교황을 두 번씩이나 국내로 불러들여 국제행사를 치렀다. 그리고 춘천교구장 장익 주교는 지난 4월 동양인으로는 최초로 노트르담 사원에 초청돼 사순절 특별강연을 할 정도가 되었다.

물론 개신교의 힘도 엄청나긴 매한가지다. 선교 100주년이었던 1984년 벌써 해외언론들은 한국 개신교의 폭발적 성장을 앞다퉈 다루었다. 이미 전국의 교회 수가 4만 5000여개를 상회하고 있다. 세계 50대 대형교회 가운데 20개 이상이 한국에 있다. 또 150여 개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 선교사는 9000명을 넘어 파송 선교사 수로 따지면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지만, 오늘날 선교 대상이 주로 제3세계인 것을 감안하면 현지 정착에 유리한 한국 교회가 사실 세계선교를 주도하고 있는 셈이다.

이러한 기독교의 경향은 전통종교들에도 큰 자극이 되었다. 큰맘 먹고 산길을 가서 어렵사리 스님 법문을 듣던 시대가 아니다. 승용차를 타고 다니면서도 불교방송을 통해 ‘성불하십시오’라는 말을 수시로 듣는다. 한번 수련회에 수천명씩 들어오는 서울 강남의 능인선원이나 새벽에 다라니를 외우러 모이는 부산 통도사 도심 포교당에 한번 가보자. 옛날의 불교가 아니다. 군중을 압도하는 거대한 힘을 목격한다.

뿐만 아니다. 향교나 신흥 민족종교들도 지방자치가 실시되면서 지역사회에서 힘을 쓰고, 또 땅값이 오르면서 재정적 안정기조를 구축하고 있다. 심지어 미신으로 내몰리던 무당들조차 전통문화 바람을 타고 당당하게 조직적 힘을 과시하는 시대다.

선거 때마다 입후보자들이 바쁘게 종교집단들을 찾아다니는 데는 다 이유가 있다. 그들을 무시하거나 그들에게 밉보였다가는 되는 일이 없기 때문이다. 이름도 잘 모르는 교단인데도 이른바 교주는 말한다.

“지난 대선 때 표를 얼마나 몰아주고, 버스를 몇 대나 보내 주었는지 모르겠어. 그런데도 은공도 모르고 또 귀찮게 군단 말이야.”

얼마 전까지도 법인등록이 안되어 당국에 열심히 호소하고 다녔던 한 교단 책임자를 만난 적이 있다.

“은행에 현찰로 3000억을 넣고 있습니다. 이러다 제가 사고라도 나면 새 책임자가 법적 절차를 마칠 때까지 이 돈은 주인이 없게 됩니다. 이 돈은 물론 우리 교단 것이죠. 하지만 또 우리나라 돈 아닙니까?”

이제 종교는 늙어서 가고 싶은 고향만이 아니다. 젊어서도 성공하려면 끼여들어야 하는 힘의 대열이다.

과연 종교는 성역인가?

이쯤 되니 종교집단들이 성스럽기만 한 것이 아니라 비리의 온상으로 지목까지 받게 되는가 보다. 소위 ‘옷로비 사건’에서도 밝혀졌듯이 큰 교회에는 큰 인물(?)들이 교인들이다. 그러다 보니 여러 측면에서 보호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우선 목사를 배출해내는 신학교부터가 인가도 없으면서 학위증을 남발하고 있다. 심지어 큰 교단들의 일류 신학교조차 교육부가 인가한 정원보다 훨씬 많은 가짜학생들을 뽑아서 자체 교단 내에서만 인정하는 학위를 수여한다. 이들의 등록금으로 강사료를 받는 신학교 교수들은 장부상에도 없는 돈을 받으니 당연히 탈세를 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에만 있는 오랜 관행이다. 그러나 어느 정권도 손을 못댄 중요한 비리다.

이렇게 엉터리 학위를 받고 목사가 된 사람들이 제대로 목회를 할 리 없다. 헌금을 강요하는 정도가 아니다. 교회 건축기금을 신도들에게 연대보증을 세워 말썽들이다. 또 오죽 가진 땅이 많으면 그렇게 면세를 시켜달라고 관계 요로에 압력성 로비를 계속하겠는가?

목사들의 여성 스캔들을 이야기하자면 단순 외도를 넘어 엽기적인 것만 추려도 며칠 밤을 새워야 할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것이 다 밝혀져도 당사자인 목사들은 건재한다는 점이다. 오히려 신도들을 동원해 매스컴에 쳐들어가 난동을 부리고, 소속교단 내에서 요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런 목사들이 요즈음에는 세습까지 한다고 야단이다. 비리가 대를 이을 모양이다. 그래도 따끔한 비판을 제대로 하는 매스컴은 없다. 괜스레 건드렸다가는 구독률과 시청률이 걱정된단다.

물론 개신교만 탓할 것은 아니다. 민주화운동에 앞장서 비교적 정의로운 종교로 알려진 카톨릭도 종종 정의는 교단 내에서만 통한다. 근자에 이르러 부쩍 늘어난 카톨릭 성지들을 살펴보면 상당수가 허가도 없이 국유지에 건립된 것들이다. 고려 때부터 강화해협을 지켜온 요새 갑곶 돈대는 어느덧 카톨릭 성지로 탈바꿈되어 버렸다. 국사가 천주교사로 일방적으로 바뀌고 있어도 감히 아무도 시비를 걸 수 없다.

나쁜 것은 쉽게 닮는다고 한다. 전통종교들도 기독교에 자극받아 힘이 생기면서 비리부터 닮아 가는 것 같다. 불과 몇주 만에 포교사 자격증을 주는 교양 불교대학들이 수두룩한데 그런 스님들 찾아가는 불자들이 어찌 걱정되지 않겠는가? 특히 재정운영이 문중 내에서 비공개되다 보니 피비린내나는 종권 다툼이 벌어진다. 염불보다 잿밥에만 정신을 쏟는 땡추스님들이 허다한 것이다. 무소유가 웬말인가? 수천 만원짜리 노름판을 벌인 부자(?) 스님도 있지 않았던가? 또 국립공원이 마치 사찰 소유인듯 입장료 없이는 얼씬거릴 수도 없다.

하지만 최대 불교종단 조계종의 총무원장이 공공연히 편파적 정치발언을 해도, 문화의 도시 경주에 경마장을 만들어 달라고 해도 정치한다는 사람들은 찍소리는커녕 비위맞추기 바쁘다. 정말 말도 안되는 세상이다.

큰 종교들이 이런 판에 작은 것들이야 오죽하랴. 작다고 무조건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대개 작은 종교일수록 교단 내부가 비밀리에 폐쇄적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비리를 저지르기가 더 쉽다는 뜻이다. 박태선 장로 사건에서부터 오대양 사건, 영생교 사건, 휴거소동, 아가동산 사건과 영생교회 및 천존회 사건에 이르기까지 소위 신흥종교들의 문제는 주로 그들의 폐쇄성에서 비롯된 셈이다. 대체로 보면 헌금 강요에 의한 재산 탈취와 가출로 인한 가정파괴가 가장 흔하다. 그리고 (성)폭행과 극단적인 경우는 살인까지 자행되기도 한다.

그러나 관계당국은 이들의 비리에 속수무책이다. 다른 일들도 많아 도저히 행정력이 미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는 통에 폐쇄적 사교집단들은 치외법권 지역에 제멋대로의 왕국을 건설하고 있다.

종교집단의 비리와 언론보도

이렇게 종교집단이 저지르는 비리에 대해 우리 사회는 대개 3가지 방식으로 처리해왔다.

첫째 방식은 행정규제다. 예컨대 문화관광부 종무실에서는 소위 ‘신문고’에 투서나 진정이 들어온 교단에 대해 자문위원회의 의견을 참고하여 비리교단에 경고하거나 법인취소 등 행정규제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직접적 강제력을 행사할 수 있는 주체가 아니므로 형식적 제재로 끝나기 일쑤다. 게다가 우리나라는 이른바 종교법인제도가 잘 정립돼 있지 못하기 때문에 종교집단들의 행정관리가 거의 안되고 있는 상태다. 엄밀히 말하면 행정관리 능력을 핑계로 거대한 힘을 가진 종교에 상대하기를 피하고 있다고도 하겠다.

둘째 방식은 형사처벌이다. 종교집단의 비리가 살인이나 폭행 등 분명하면 대체로 처벌을 한다. 그러나 헌금 강요나 사기죄 등은 당사자들간의 정황이 중요하므로 간단하지가 않다. 특히 헌법상 종교의 자유가 보장돼 있으므로 종교적 사실은 사법심사의 대상이 될 수 없다. 그러니까 종말 날짜를 계시받았다고 주장했을 때 법원은 그 계시가 참인지 거짓인지 판단할 수 있는 권리가 없는 것이다. 다만 그것이 성실히 주장되고 있는지 아닌지만 판단할 수 있다.

몇년 전 휴거소동 때 다미선교회의 시한부 종말론도 종말이 온다고 했던 날짜 이후를 만기로 개설한 저금통장이 증거로 채택되어서야 비로소 사기죄가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성실성을 부정할 만한 명백한 증거를 찾아내기란 아주 어렵다. 그러므로 법원은 객관적 증거보다는 종종 여론에 밀려 판결을 내린다. 그러니까 특히 큰 종교집단은 다루기가 어려운 것이다.

셋째 방식은 도덕적 정죄다. 법정에서는 종교범죄의 사실 여부보다는 입증을 요구한다. 그런데 성폭행이나 헌금 강요 등은 입증이 어렵고 공소시효가 지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형사처벌은 못해도 비리를 사회에 널리 알려 윤리적으로 그 집단을 정죄하고 경종을 울리는 데 언론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물론 매스컴이 종교집단의 비리를 비판하고 정죄하기보다 호기심이나 흥미 위주로 폭로하는 데 열을 올린다는 비판도 있다. 특히 TV의 고발프로와 주간지의 폭로기사들이 그러하다. 따라서 종교집단들은 잘못된 보도 때문에 피해를 보았다고 언론중재위원회를 거쳐 방송(게재)금지 신청, 반론보도 요청, 명예훼손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 등 법적 대응을 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다. 언론사 앞에서 반대시위를 하기 일쑤고, 심지어 얼마 전에는 방송 중인 스튜디오에 쳐들어가지 않았던가? 조직적 힘을 앞세운 비리 종교집단의 무력적 급습을 언론사는 도저히 당해낼 재간이 없다. 하지만 종교집단의 비리를 매스컴이 보도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지극히 의의가 크다. 행정규제나 형사처벌이 어려운 경우 그리고 실로 아무도 그 힘 때문에 통제할 수 없는 비리들을 그나마 정죄하는 마지막 방법이라는 점 때문이다.

종교비리 보도의 궁극적 방향

그러나 종교비리를 실제 보도하는 데 있어 몇 가지 기본적인 원칙은 고려되어야 한다. 우선 확인된 사실만 보도해야 한다는 것은 물론이다. 종교집단들은 믿음이 기반이 된 조직이므로 일단 비리에 연루되었다고 보도되면 신도들이 흔들리고 대외적 이미지가 크게 손상되게 마련이다. 따라서 사실이 아닌 경우는 명예회복을 위해 법적 투쟁도 불사한다.

특히 종교집단은 의사소통의 효율적인 통로인 셈이므로 미확인 기사는 쉽게 확대된다. 80년대 단군 성전 건립문제로 개신교와 민족종교 간의 갈등이 첨예화된 일이 있다. 마침 한 개신교 신문은 정부가 단군 성전 건립에 엄청난 예산을 쓸 작정이라는 기사를 냈다. 개신교측에서는 당장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성토했고, 민족종교계는 대환영했다.

그런 가운데 양쪽에서 비롯된 상대 비방은 국민 전체를 갈등기조 속에 휘말리게 했다. 바짝 긴장한 당국은 부랴부랴 그 기사의 출처를 확인해 보았다. 결국 한 보수 개신교인이 단군 성전을 하나만 짓는 데도 수억원은 들 텐데(일제시대 신사 짓는 식으로 끝내는 전국 모든 군마다 짓게 되어) 그렇게 되면 엄청난 예산이 들 수도 있겠다고 추정해본 것이 와전된 결과였다. 상상을 정론화한 일개 신문 때문에 얼토당토않게 사태가 악화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언론들은 기사뿐만 아니라 광고도 신중하게 실어야 한다. 이른바 사교집단 현장조사를 나가보면 “삼풍사고, 김일성 사망 족집게 예언” “불치병을 낫게 하는 건강비법” “수재의연금 접수” 등을 자랑하는 신문이나 잡지광고를 보여준다. “그건 당신들이 자체광고를 낸 것 아니오?”하고 물으면 “이렇게 큰 신문·잡지에서 돈만 준다고 내줍니까?”하고 오히려 반문한다. 돌팔이 약은 과대광고가 금지되는데 엉터리로 마음의 병을 고친다는 종교광고들은 왜 판치게 내버려두는지 모르겠다.

제대로 된 사실인가 아닌가 판단하려면 기자들의 종교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도 필수적이다. 종교사건들이 터질 때마다 기자들은 대뜸 전화해서 묻는다. “그 종교 사이비죠? 우리나라에 그런 사이비 종교는 몇 개나 됩니까?” 참 한심한 질문이다. 가만히 따져보면 “그 사람 거짓말쟁이죠? 우리나라에 그런 거짓말쟁이는 몇 명이나 될까요?”하고 묻는 셈이니 말이다. 이런 시각에서 기사를 쓴다면 자기도 모르는 것을 결국 남에게 알리려는 셈이다. 이 정도는 안되도록 종교에 대해 기본은 갖추고 취재에 임했으면 한다.

기자들의 무지로 인한 오보는 허다하다. 1998년 승합차에서 집단자살 사건을 벌인 영생교회 사건이 일어났을 때 많은 기자들은 영생교로 오인했다. 또 증산계열 종교의 통칭인 증산교와 일개 교단의 이름인 증산도를 혼동하는 기자가 너무도 많다.

끝으로 한 가지 덧붙여 강조하고 싶은 것은 언론보도가 무엇보다도 종교를 일종의 ‘국민적 자본’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잘사는 나라가 된다는 것은 국민들이 잘 먹고 잘살아서 육체적으로 건강하게 하는 것이라고들 본다. 그러나 진정 잘사는 나라는 거기다 국민들의 마음까지도 편하고 건강해야 하는 법이다. 건강한 정신을 가져야 일도 잘하고 건전한 생활을 할 수 있지 않은가? 더구나 이제는 보릿고개를 걱정하던 시대는 지났다. 즉 경제적 복지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국민들의 ‘영적 복지’다.

종교집단에 대한 언론보도는 궁극적인 방향이 이러한 차원에 맞춰져야 한다. 다시 말해서 국민들의 영성 생활을 해치는 비리는 아무리 큰 조직적 힘을 배경으로 했더라도 과감하게 척결해야 한다는 의지에서 출발해야 한다. 비판적 보도를 함으로써 단순히 엽기적 비리를 까발리기보다는 국민들의 영적인 삶을 바로잡아 준다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는 말이다. 이렇게 되려면 선정적인 폭로기사보다는 종교집단들의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비리를 고발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1997년 대구 공덕원 석용산 스님 사건이 터졌을 때 매스컴들은 주로 그가 개인적으로 돈을 어떻게 빼돌렸고, 여신도들을 어떻게 농락했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모처럼 땡추스님의 외도 행각이라는 화젯거리를 잡은 것이다. 이로 인해 오직 수도정진하던 수많은 스님들이 얼마나 불자들의 눈총을 받게 됐고, 불자들의 불심이 얼마나 다쳤는지 생각해 보았는가?

또 1995년 소쩍새마을의 일력 스님 사건이 방영되었을 때도 보도의 초점은 주로 외화 밀반출과 성추행에 맞춰졌을 뿐이다. 그후 후원회원들의 송금이 끊어졌을 뿐만 아니라 불교의 다른 헌신적인 복지사업에도 심각한 타격을 준 것은 어찌해야 하는가? 감리교 감독을 지낸 김홍도 목사나 만민중앙교회 이재록 목사 사건 등의 방영도 결국 돈과 여자 문제로 귀결되었다. 그리고 한국 개신교 전체의 도덕적 이미지를 크게 실추시켰다.

비리를 덮어두어야 한다는 말이 아니다. 왜 이런 문제들이 우리나라 종교집단들의 재정적 미공개와 사유화 문제 그리고 성직자 양성과정 문제 등 개인적 차원의 비리를 넘어 제도적 비리의 문제로 심도있게 취급되지 못했을까? 그리고 이들이 포함된 종교 자체가 지닌 영적 복지를 위한 공공적 가치를 다치지 않도록 조금이라도 고려해볼 수는 없었을까? 이 점이 아쉬울 뿐이다.


[이 게시물은 (ㅡ.ㅡ)님에 의해 2005-03-01 09:06:29 (구)자유게시판(으)로 부터 복사됨]

Comments

도무지 2004.08.27 03:06
생각해 볼 만한 기사군요.
역시 이곳에 오길 잘했어요.
좋은 정보를 많이 가져 갑니다.^^
.... 2004.08.26 14:05
박수......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6 망상에 대하여 댓글+1 오브르 2004.09.14 3098
545 이외수, 《감성사전》 댓글+11 오브르 2004.09.04 4887
544 <개독초딩을 위한>고대인들의 천문학적 지식 인드라 2004.09.04 3316
543 껍질깨기 댓글+27 김장한 2004.09.02 6124
542 바이블의 소설적 성격 댓글+3 김장한 2004.08.30 3604
541 [펌] 아노미 현상 댓글+1 Asimov 2004.08.29 4030
540 朴景利님의글 윤리와정서 그리고 孝 댓글+1 한주 방 2004.08.29 3184
539 불가지론의 무책임 댓글+5 김장한 2004.08.27 4006
열람중 종교집단 비판 보도에 한계 있는가 - 김종서 교수 댓글+2 ※※※ 2004.08.26 3367
537 사후생 - 아이작 아시모프 댓글+3 ※※※ 2004.08.26 3809
536 과학과 희망에서 - by 칼세이건 ※※※ 2004.08.26 2963
535 루터의 발자취 댓글+1 오브르 2004.08.26 3393
534 [펌] 루터는 제정신이었는가? 댓글+3 ※※※ 2004.08.26 3656
533 [펌] 인간을 위해! by leftsky 댓글+1 ※※※ 2004.08.25 3159
532 [펌]선행보다 악행에 더 많이 쓰이는 기독교의 신념 댓글+4 퍼랭이 2004.08.24 3652
531 모세, 여호아의 부름에 답하다 댓글+3 조한주 2004.08.23 3575
530 섹스의 도덕과 윤리 댓글+1 조한주 2004.08.23 3766
529 플라비우스 조세푸스 (Flavius Josephus)의 예수 ※※ 2004.08.22 3933
528 개독의 안식일변명에 대한 답글 인드라 2004.08.22 3272
527 이성의 한계 또는 진리의 의미( 만들어진 주체에 관하여) 댓글+1 조한주 2004.08.21 2949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99 명
  • 오늘 방문자 111 명
  • 어제 방문자 4,979 명
  • 최대 방문자 5,411 명
  • 전체 방문자 1,541,329 명
  • 전체 게시물 14,417 개
  • 전체 댓글수 38,042 개
  • 전체 회원수 1,66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