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 아노미 현상

저는 신입니다. 왠줄 아십니까?

제 일기장에 제가 신이라고 적혀있기 때문입니다. 제 말은 진리입니다. 왠줄 아십니까? 제 일기장에 제 말은 진리라고 적어놨기 때문입니다. -엑스

[펌] 아노미 현상

Asimov 1 4,135 2004.08.29 22:33

웹서핑 중 '아노미현상' 이란 글이 있어서 옮겨봅니다.

-----

 

==== 아노미 현상 ====

1. 아노미(anomi)의 유래

이 어원은 무법 무질서를 일컫는 말이다. 즉 법의 부재를 뜻하는 그리스말인 아노미아(ANOMIE)에서 유래된 것으로 한때 폐어(廢語) 가 됐다. 그러나 그 뒤에 「밀 튀리켕」이 90년대, 그의 저서인 「사회분업론」과 「자살론」에서 이 단어를 부활시켰다. 튀리켕은 이 용어를 한 사회에 있어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된 가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돈상태」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규정   했다. 이후 이 용어는 사회 해체현상을 분석 기술하는 개념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고 한다.

2. 아노미(anomi)의 개념

- 기존의 질서가 무너지고, 가치관이 상실되어 정신적 불안상태가 나타나는 현상
- 무규범, 무질서의 상태
- 규범이 없는 혼란 상태
- 자아를 잃고 변해가는 현상
- 행위를 구제하는 공통된 가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란 상태

등으로  말할수 있다.

3. 종교 피해와 아노미와의 관련성

종교를 믿는 사람은 각종교 에 대한 자신의 규범 즉 행동 양식과 생활 규범을 가지게 된다..
예를들어 기독교를 믿는 사람이 정해진 날에 예배를 보고, 절기를 지키는 등등..  각자의 종교 교리에 따른 사고와 생활 방식을 갖는다..

종교에 의한 피해를 보게 되면  그러한 생활 규범은 물론 정신을 지배하던 교리에 대한 거부감 과 새로운 생활규범의 부재로  상당히 불안 하고, 혼란 스런 상태에 놓이게 되는 데, 이러한 상태가 아노미 상태이다..

이것은 이전 까지 자기가 옳은 것이라는 판단하에, 행하고 지켜오던 생활 방식과 정신적 규율이 잘못된 것이란 점과 예전의 생활 규범을 잃어 버리고,  다른 대안의 부재 속에서 많은 혼란과 방황을 야기 한다. 이것이 종교 피해로 인해 야기되는 아노미 현상 이다..

4. 아노미의 발생 형태

- 극심한 우울증
- 대인 기피증  
- 자기 학대
- 자살 충동
- 살인 충동

등 으로 각자 처해진 환경과 성격 등등 에 따라 증상이 심해 질수도 있고, 적은 사람도 있다.


5. 아노미의 탈출 대안들

1) 대인 관계를 통한 아노미 극복:

자살충동은 주변 사람들과의 정적 유대와 간절에 기인한다. '나를지극히 아껴주는 사람'이 있기만 해도 또는 반대로 '내가 지극히 아끼는 사람'이 있기만해도  아노미는 심하게 오지 않을 것이다..

2) 자아 건강성 함양:

자아강건성은 실패, 좌절 등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도 크게 흔들리지 않는 안정성 혼자서도 이겨낼 수 있다고 믿는 자기 충족감과 자신감 이라고 할 수 있다..

3) 새로운 삶의 계획:

종교피해 이후 삶의 희망을 잃은체 살아가면 더욱더 그 아노미 현상에서 벗어나기 힘들어 진다.  새로운 목표나  현실적인 도전을 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게시물은 (ㅡ.ㅡ)님에 의해 2005-03-01 09:28:13 (구)자유게시판(으)로 부터 복사됨]

Comments

동포 2004.08.30 15:58
새로운 삶의 계획으로는 반기련이 딱! 이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펌] 아노미 현상 댓글+1 Asimov 2004.08.29 4136
376 朴景利님의글 윤리와정서 그리고 孝 댓글+1 한주 방 2004.08.29 3319
375 불가지론의 무책임 댓글+5 김장한 2004.08.27 4067
374 종교집단 비판 보도에 한계 있는가 - 김종서 교수 댓글+2 ※※※ 2004.08.26 3425
373 사후생 - 아이작 아시모프 댓글+3 ※※※ 2004.08.26 3883
372 루터의 발자취 댓글+1 오브르 2004.08.26 3486
371 [펌] 루터는 제정신이었는가? 댓글+3 ※※※ 2004.08.26 3763
370 [펌] 인간을 위해! by leftsky 댓글+1 ※※※ 2004.08.25 3240
369 [펌]선행보다 악행에 더 많이 쓰이는 기독교의 신념 댓글+4 퍼랭이 2004.08.24 3772
368 모세, 여호아의 부름에 답하다 댓글+3 조한주 2004.08.23 3644
367 섹스의 도덕과 윤리 댓글+1 조한주 2004.08.23 3827
366 플라비우스 조세푸스 (Flavius Josephus)의 예수 ※※ 2004.08.22 4031
365 신지학의 몰락 댓글+5 인드라 2004.08.21 5894
364 이데올로기로서의 근대 조한주 2004.08.21 3415
363 이교의 십자가 [십자불꺼에서 퍼왔습니다.] 퍼랭이 2004.05.14 4235
362 부활절과 그 관습들에 대하여....... 댓글+3 sskq 2004.07.10 4272
361 하느님? 하나님? 신? 석동신 2004.05.03 3564
360 기독교 선교사들의 한국인식 ※※ 2004.08.19 3331
359 자유주의 신학? 댓글+3 인드라 2004.08.18 3804
358 왜 유독 목사님들의 성추행이 이렇게 많은가? 댓글+3 저승사자 2004.08.17 4227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345 명
  • 오늘 방문자 4,440 명
  • 어제 방문자 6,870 명
  • 최대 방문자 7,815 명
  • 전체 방문자 1,770,181 명
  • 전체 게시물 14,417 개
  • 전체 댓글수 38,042 개
  • 전체 회원수 1,66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