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2성전시대 - 3

"기독교의 역사"에서 주로 다룰 주제는 기독교인들이 저질러온 죄악들,
예를들어 십자군, 마녀사냥, 이단사냥, 루터와 칼뱅의 망언 사례, 인디언과 인디오 학살 등을 역사적 자료를 통해 조명하고,
기독교가 로마에 의해 공인된 과정, 유대인들의 역사 등 다채로운 주제를 포함하게 될 것입니다.

재2성전시대 - 3

오디세이 0 2,578 2002.08.05 23:03
재2성전시대 - 3


<로마의 총독들 >

아켈라오의 해임 이후 로마의 총독은 아그립바 1세가 왕으로 통치하던 시기를 제외하고 유대를 다스렸다. 디베리야 황제는 총독을 자주 바꾸지 않았다. 아픈 사람의 상처에 앉아 피를 빨아먹는 파리는 점차 그것에 만족을 하지만, 만일 이 파리를 쫓아내면 새로운 파리떼가 몰려들어 더 극성을 부리게 된다는 것이 황제의 이유였다. 총독의 착취가 얼마나 심했는가를 보여주는 좋은 설명인 셈이다.


--------------------------------------------------------------------------

<유대의 대 반란과 예루살렘 성전의 파괴 >

로마가 부과한 과중한 세금은 백성들로 하여금 가혹한 이방 통치에 대한 증오심을 불러일으켰다. 더군다나 팔레스타인 내에 이방인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그들은 유대인보다 더 많은 권익을 누리게 된다. 하스몬 왕조 말기부터 싹트기 시작한 메시야 사상은 절정에 이르러 이방인의 압제에서 유대를 구하고 메시야가 통치하는 왕국을 고대하는 이들이 늘어나게 된다. 그즈음 로마는 빈번한 황제의 교체로 혼란을 겪고 있었다. 주후 66년 가이사랴에서는 헬라인과 동등한 권리를 요구하는 유대인들이 공격을 받았다. 반란은 갈릴리 지역으로 번져 갔다. 이 반란을 진압하기 위하여 베스파시안 장군이 갈릴리로 진격하였으며, 갈릴리의 철통같은 요새 요타파타가 무너졌다. 이때 반란군의 사령관이던 요세푸스(요셉 벤 마티디아스)는 포로로 잡히고, 로마 편에서 유대인 전쟁사를 기록한다.

추종자들에 의해 황제로 추대된 베스파시안이 로마로 떠나고(주후 69), 그의 아들 티도 장군이 예루살렘을 공격한다. 반란군 유대인은 단일한 지도 체제를 유지하지 못했다. 기스갈라의 요한, 시몬,시몬 바르 기오라를 지도자로 한 반란군은 예루살렘에서 로마군과 맞서서 싸웠으나 결국 주후 70년 예루살렘은 성전과 함께 파괴된다. 이때에 도망친 일부 유대인이 맛사다 요새에서 로마군과 대항하지만 3년만에 자결로 끝을 맺는다. 이제 유대인은 2천년의 방랑 길에 나서게 나서게 되었다.


--------------------------------------------------------------------------

<종파의 형성 >

하스몬 시대에 처음으로 바리새파와 사두개파가 등장한다. 이런 종파의 등장은 요나단이 대제사장직을 맡게 된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다윗 시대의 대 제사장 사독 이후 사독의 후손은 공식적인 대제사장직을 맡은 가문이 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요나단이 대 제사장이 되어 끊어지게 되었고, 사독의 후손은 처음에는 대제사장직을 빼앗은 하스몬 가문을 비난하였으나 결국은 기득권을 포기하고 하스몬 가문과 결탁하여 정치적 종교적인 이익을 나누는 길을 선택한다. 그러므로 사독의 후예 즉 사두개파는 사회적으로 상규 계층에 속했다. 그들은 구전(口傳)을 부인하고 오직 토라만을 신봉하는 점이 바리새파와 달랐다. 그들은 자유의지를 주장하며 천사와 부활을 믿지 않았다.

바리새파는 요한 힐카누스가 대 제사장의 자격이 없다고 공격하면서 그 첫 모습을 드러낸다. 바리새는 '분리주의자'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들은 사두개파의 신앙, 정치와 의견을 달리했다. 즉 분리주의자라는 이름은 그들 스스로에 의해서가 아니라 바로 반대자들이 붙여 준 이름이었다. 바리새파는 하시딤의 후예로 토라의 생활화를 목표로 하였다. 토라뿐만 아니라 구전과 전통을 인정하고, 영혼 불멸, 부활의 신앙을 갖고 있었으며 대중의 지지를 받았다.

에세네파는 도래할 메시야 사상을 가지고 모든 일원이 재산을 공동 소유하며 독특한 금욕 생활을 하는 집단이라는 점에서 동시대 헬라 로마 작가의 관심을 끌었다. 1947년 사해 부근 쿰란의 발견은 이들의 사상과 생활에 관한 새로운 많은 정보를 줄뿐만 아니라 1세기를 전후한 유대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9세기말 카이로 회당에서 발견된 다메섹 계약(Damascus Covenant)은 이 종파의 기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느브갓네살왕에게 팔리운 후 390년 간의 진노의 시간이 지나면(겔 4:5) 하나님이 남아 있는 의로운 자를 찾으신다.(주전 586 - 390 = 주전 196년) 그러나 20년간은 장님처럼 어둠 속에 있었다. (주전 176년) 이때에 하나님이 이들에게 찾아오셔서 이 종파의 창시자인 '의의 교사'를 주었다. 그리고 의의 교사는 한 세대(40년)을 가르쳤다.  의의 교사가 죽은 이후 최후의 구원이 이루어지기까지 다시 40년이 지날 것이다. 이렇게 주어진 490년이라는 시간은 다니엘 9:24 와도 일치한다. 이들은 자신이야말로 새 계약의 수행자이며 죄악에 물들지 않은 남아 있는 참 이스라엘이라고 여겼다. 이렇듯 이 시대는 메시야에 대한 기다림이 충만해 있었다.

--------------------------------------------------------------------------

<디아스포라 유대인 >

제 1성전이 파괴된 이후 유대인의 디아스포라(離散이라는 헬라어에서 파생되어 이스라엘밖에 흩어진 유대인을 일컬음)는 시작된다. 제 2 성전시대의 독특한 현상중 하나는 팔레스타인 본토에 살고 있던 유대인보다 다른 지역에 흩어져 살고 있던 유대인의 숫자가 더 많다는 사실이다. 제 1 성전 시대에 유대인의 역사는 이스라엘 땅(에레쯔 이스라엘) 에서 이루어 졌으나 이제는 에레츠 이스라엘밖에 살고 있는 유대인에게도 관심이 나누어 져야 했다. 전 세계에 흩어져 살고 있는 유대인에 대한 정보는 오순절에 각 지역에서 예루살렘으로 온 순례자들을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들은 파르티아(바대), 메디아(메대), 엘람, 메소포타미아,갑바도기아, 본투스(본도), 브루기아, 이집트, 키레나이카, 로마, 크레데, 아라비아에서 온 유대인이었다(행 2:9-11). 모든 유대인은 일년에 세 번 유월절, 칠칠절, 초막절 절기에 예루살렘 성전을 방문하여 제사를 드릴 의무가 있었으며, 이것은 디아스포라 유대인에게도 예외는 아니었다. 디아스포라 유대인은 이러한 순례를 통하여 팔레스타인과의 관계를 유지해 나갔으며 특히 예루살렘의 성전은 디아스포라 유대인에게도 심장과도 같은 중요성을 띠고 있었다. 이방인의 눈에는 반 세겔의 성전세와 헌물을 예루살렘에 보내는 디아스포라 유대인의 행동이 헬라 세계의 일원이기를 거부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헬라 세계의 유대인은 조상의 율법에 따라 할례와 안식일을 지키고 이교의 제사를 거부했다. 그들은 회당을 중심으로 율법을 지키고 주변 세계에 동화되지 않으려고 노력하였다.

유대인의 종교적 열심은 주위의 미움을 사기도 했으나 경건한 유대인을 보고 유대교로 개종하는 이방인도 생겨났다. 헬라 세계에 살고 있던 유대인은 각 지역에서 헬라인과 동일한 권리를 쟁취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쟁하였으나 유대인에게 우호적이지 않은 통치자들은 때로는 가혹한 처사를 일삼았다.

Comments

Category
State
  • 현재 접속자 145 명
  • 오늘 방문자 4,446 명
  • 어제 방문자 4,958 명
  • 최대 방문자 5,411 명
  • 전체 방문자 1,568,468 명
  • 전체 게시물 14,416 개
  • 전체 댓글수 38,042 개
  • 전체 회원수 1,66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