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은 역사다.

비정상적인 개독들의 모습..

단군은 역사다.<기사>

최강한국을 꿈꾸며 0 2,809 2005.06.28 09:29
국학이야기]단군은 신화가 아니다
[뉴스메이커 2005-06-26 20:10]
d5.jpg

고조선 건국은 분명한 ‘역사’… ‘단군 탄생신화’로 왜곡 바로 잡아야

단군 왕검은 기록된 역사의 인물이다. 다만 그의 탄생에 얽힌 이야기가 신화적일 뿐 고조선을 창건한 단군의 존재는 신들의 행적이 아니었다. 때문에 그의 탄생을 기록한 내용이 신화적이라는 데서 ‘단군 탄생신화’라는 용어가 올바른 것이다. 단군이 신화라면 고조선의 역사는 기록이 아닌 허구의 이야기가 되고 만다.

단군의 탄생은 물론 세계 어느 나라 할 것 없이 건국의 인물은 예외 없이 신화적 배경을 안고 있다. 우리 역사만 해도 고구려·신라·가야 등의 건국 시조는 한결 같이 신화적이다. 붓다나 예수는 말할 것도 없다. 하늘이 보냈다는 ‘천손(天孫) 의식’은 천명(天命)사상의 자연스러운 표현으로 나타났다. 통치의 정당성과 정통성의 증거로 ‘하늘에서 왔다’는 선민의식은 다른 부족에 대한 절대적 우월성의 표현이다. 그들의 역할이 하늘의 명을 대신한다는 천명의 현실화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탄생신화 속의 상징들

단군의 탄생신화도 같은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신화는 어느 한 시기에 만들어졌다 해도 생명력을 갖기 위해 오랜 시간에 걸친 공통의 문화 경험의 시험대를 통과해야만 했다. 다시 말해, 그 시대가 갖는 문화적 한계성을 여러 차례 극복한 뒤의 소산물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신화는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체계를 제시한 것이라 해도 무방하다. 때문에 단군의 탄생신화 속에서 한국문화 전통의 한 부분을 설명할 수 있는 원형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역사의 전개과정에는 연속성과 단절성이 부단히 교차한다. 사상의 흐름도 마찬가지다. 연속과 단절이 반복된다. 개념이나 사유의 체계도 이런 운동을 피할 수 없다. 시대적 변혁기엔 단절성이 강조되면서 연속성이 가벼이 취급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현대의 우리가 겪고 있는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나 종교간의 대립도 마찬가지다. 연속성은 진리성을 말한다. 단군의 탄생신화가 수천년의 세월 속에 부침하며 전해져 오는 것은 그 속에 진리가 있기 때문이다.

단군의 탄생 이야기 가운데 쑥과 마늘, 그리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말라는 고행이 들어 있다. 왜 쑥이며 마늘인가? 왜 하필이면 100일인가?

마늘은 남자의 식품이고, 쑥은 여인의 피를 맑게 한다고 한다. 사람이 되기 위한 고행과 수도를 상징한 이야기다. 우리 전통에는 아기를 낳은 산모는 ‘삼칠일(三七日)’을 조심하고, 그 다음 100일을 잘 조리해야 젖살이 올라 육아에 이상이 없다고 한다. 쉽게 말해 단군의 탄생신화는 여인의 육아경험을 밝혀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은 인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경험이다.

그렇기에 단군의 탄생신화는 아마도 여인네들에 의해 자연스럽게 구전되었을 것이란 추측이다. 단군 탄생신화의 다양한 해석 가운데 한국 여성들의 전통적 육아의 지혜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다.

단군의 탄생신화를 알든 모르든 요즘에 태어나는 아기에게도 ‘삼칠일’은 똑같이 적용되고 있으니 말이다. ‘단군신화’라는 그릇된 용어가 건국조의 역사성을 왜곡하고 있다. 때문에 ‘단군신화’는 ‘단군 탄생신화’로 바로잡아야 한다.

〈이형래 세계역사문화연구소장〉



기사제공 : slogo_033.gif


[이 게시물은 (ㅡ.ㅡ)님에 의해 2005-07-16 16:13:13 자유게시판(으)로 부터 복사됨]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단군은 역사다.<기사> 최강한국을 꿈꾸며 2005.06.28 2810
1208 미션스쿨 체험기2-채플과 수업 chung 2003.07.31 2809
1207 성령의 감화를 받은 기독인의 주옥같은 글. 댓글+2 동포 2004.10.30 2808
1206 [기사] 풍선에 개독경 구절 써서 북한에 날려 댓글+6 꽹과리 2005.08.20 2807
1205 얼마전 뉴스에 나왔던... 방문객 2003.01.29 2806
1204 미친 개독교의 미친 신문 국민일보가쓴 올림픽기사. 댓글+9 개독교추방위원회 2004.08.30 2806
1203 [기사]교회의 문제가 자주 오르네요.. 마지막 말이 압권 댓글+1 예병불천 2005.08.25 2806
1202 이전 여친과의 msn대화 4(마지막) 댓글+5 =_= 2004.04.05 2805
1201 도전하는 젊은이들을 위한 잠언 50 댓글+1 꽹과리 2003.10.07 2804
1200 죽은 여동생 부활 믿고 시신 방치 엑스 2003.02.20 2804
1199 [기사] "오래된 롤렉스 시계 찼으면…거의 계약한다" 댓글+2 (ㅡ.ㅡ) 2003.10.07 2804
1198 [기사] 기독인 교사, 한기총에 회개 촉구 댓글+3 (ㅡ.ㅡ) 2004.11.09 2804
1197 [과거기사 - 보관자료] 순복음교회/「사이비」시비 공식해명 책자 발간 (ㅡ.ㅡ) 2005.06.06 2804
1196 기독교인을 위한 성폭력 예방지침서 배포 (ㅡ.ㅡ) 2003.09.27 2803
1195 개독인들에게!!! 속보!!! 개독 필독!!! 드디어 구원이군요!!! 댓글+5 돌안기맨 2004.10.23 2802
1194 오늘의 푸딩 명언 댓글+3 ※※※ 2004.10.30 2802
1193 "열두광주리쉼터"는 어떠한 곳인가 ! 과객 2006.10.20 2802
1192 '기저귀 발언' 파문 목사 면직 목사킬러 2004.03.26 2801
1191 [기사] 강의석 군 옹호한 교목 '파면' 위기 댓글+6 반기독교 2004.10.21 2801
1190 제사를 미신행위로 매도하는 기독교인들을 위한 제사이야기 (3/2) 봉건제 시기 ~ 근대시대 화니 2003.10.24 2800
Category
글이 없습니다.
글이 없습니다.
State
  • 현재 접속자 559 명
  • 오늘 방문자 4,440 명
  • 어제 방문자 6,870 명
  • 최대 방문자 7,815 명
  • 전체 방문자 1,770,181 명
  • 전체 게시물 14,416 개
  • 전체 댓글수 38,042 개
  • 전체 회원수 1,668 명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